티스토리 뷰
디딤씨앗통장 만기 정보와 해지 절차 알아보기
$$\\ 2024. 1. 15. 20:55
디딤씨앗통장 은 취약계층 아동의 자산 형성을 돕기 위한 정부 지원 프로그램으로, 매월 아동이 납부하는 5만 원에 대해 정부가 2배인 10만 원을 매월 적립해주는 사업입니다. 이를 통해 아이의 미래를 위한 자금을 마련할 수 있습니다. 이 글에서는 디딤씨앗통장 의 만기에 대한 정보와 해지 방법, 만기금액 수령 방법을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.
디딤씨앗통장 상세 정보
디딤씨앗통장 은 다음과 같은 주요 정보를 포함합니다:
디딤씨앗통장 지원 대상
디딤씨앗통장 은 다음과 같은 대상을 지원합니다:
- 보호대상아동: 만 18세 미만의 아동복지시설 보호아동, 가정위탁 보호아동, 장애인 거주시설 아동, 소년소녀가장아동
- 기초생활수급가구 아동: 만 12세 이상 만 18세 미만의 중위소득 40% 이하의 수급가구 아동
- 2023년 신규선정 대상은 만 12세 ~ 17세(만 12세가 되는 생일이 속한 달부터 신청 가능)
디딤씨앗통장 지원 기간
디딤씨앗통장 은 보호대상아동 및 기초생활수급아동이 가입한 날부터 만 18세 미만까지 지원됩니다.
디딤씨앗통장 지원 금액
디딤씨앗통장 은 후원자 또는 보호자의 도움으로 월 5만 원을 적립할 시 국가에서 월 10만 원을 내 지원해줍니다. 월 최대 50만 원까지 적립 가능하며, 정부매칭 지원은 월 최대 10만 원까지 가능합니다.
디딤씨앗통장 신청방법
디딤씨앗통장 을 신청하는 방법은 두 가지입니다:
- 오프라인 신청: 주민등록 주소지 관할 읍, 면, 동 주민센터 방문하여 신청
- 온라인 신청: 복지로 홈페이지에서 신청 가능
디딤씨앗통장 해지 방법
디딤씨앗통장 의 해지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:
- 필요한 서류 준비: 만나이를 계산하여 확인합니다.
- 만 18세 이상 만 24세 미만인 경우: 씨앗통장, 신분증, 사용용도 증빙서류 필요
- 만 24세 이상인 경우: 씨앗통장, 신분증만 필요
- 시군구청 방문: 지급 신청서를 작성하여 시군구청에 제출
- 은행 방문: 시군구청에서 발급받은 지급요청서, 신분증, 디딤씨앗통장 , 지급받을 계좌 통장을 가지고 신한은행에 방문
- 해지 및 적립금 수령: 신한은행에서 디딤씨앗통장 을 해지하고, 신청자의 계좌로 적립금을 받음
- 통지: 다음달에 신한은행이 시군구청으로 디딤씨앗통장 해지 내역서를 통지
디딤씨앗통장 만기 금액
디딤씨앗통장 의 만기 금액은 다음과 같이 나타납니다:
구분 |
운용 |
1년 |
5년 |
10년 |
15년 |
18년 |
월 5만원 적립시 |
아동적립금 |
기본적립금 |
적립예금 |
60 |
300 |
600 |
추가적립금 |
- |
- |
- |
- |
- |
|
정부(지자체)지원금 |
투자신탁 |
120 |
600 |
1,200 |
1,800 |
2,160 |
총액(이자 제외) |
180 |
900 |
1,800 |
2,700 |
3,240 |
|
월 10만원 적립시 |
아동적립금 |
기본적립금 |
적립예금 |
60 |
300 |
600 |
추가적립금 |
60 |
300 |
600 |
900 |
1,080 |
|
정부(지자체)지원금 |
투자신탁 |
120 |
600 |
1,200 |
1,800 |
2,160 |
총액(이자 제외) |
240 |
1,200 |
2,400 |
3,600 |
4,320 |
디딤씨앗통장 은 아이의 미래를 위해 특별히 만들어진 계좌로, 적립된 금액은 만기에 활용 가능합니다. 만기 금액은 적립액과 정부 지원금을 고려하여 다양한 금액이 나올 수 있으니 아이의 미래를 위한 자금 마련에 도움이 될 것입니다.
이 글에서는 '디딤씨앗통장 만기 '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였습니다. 디딤씨앗통장 은 취약계층 아동을 위한 정부 지원 프로그램으로, 만기에는 다양한 금액을 받을 수 있습니다. 디딤씨앗통장 을 가지고 있는 아이와 가족들은 이 금액을 활용하여 학비, 생활비, 주거비 등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. 디딤씨앗통장 을 보유하고 있는 경우, 만기에 대비하여 어떻게 해지하고 금액을 수령할 수 있는지 알아두는 것이 중요합니다.
다운로드